대적광전
연화장세계(蓮華藏世界)의 교주 비로자나불을 본존불로 모신 법당.
내용
화엄종의 맥을 계승하는 사찰에서는 주로 이 전각을 본전(本殿)으로 건립하여 ≪화엄경≫에 근거한다는 뜻에서 화엄전(華嚴殿), ≪화엄경≫의 주불(主佛)인 비로자나불을 봉안한다는 뜻에서 비로전(毘盧殿), 그리고 ≪화엄경≫의 연화장세계가 대정적의 세계라는 뜻에서 대적광전이라고도 한다.
이 대적광전에는 원래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한 삼신불(三身佛)을 봉안하여 연화장세계를 상징하게 된다. 원래 법신(法身)·보신(報身)·화신(化身)의 삼신불로는 비로자나불·아미타불·석가모니불을 봉안하는 것이 상례로 되어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 사찰에서는 선종(禪宗)의 삼신설에 따라 청정법신(淸淨法身) 비로자나불·원만보신(圓滿報身) 노사나불(盧舍那佛)·천백억화신(千百億化身) 석가모니불의 삼신을 봉안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비로자나불의 좌우 협시보살(脇侍菩薩)로는 문수보살(文殊菩薩)과 보현보살(普賢菩薩)을 봉안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법당 내 오불(五佛)을 봉안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삼신불 좌우에 아미타불과 약사여래를 봉안하며, 아미타불의 좌우 협시보살로는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을, 약사여래의 협시보살로는 일광보살(日光菩薩)과 월광보살(月光菩薩)을 봉안하게 된다.
이 경우 약사전(藥師殿)과 극락전(極樂殿)을 대적광전에서 함께 수용한 형태로, 우리 나라에서 중요하게 신봉되는 불보살들이 모두 한 곳에 모인 전각이 되는 셈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볼 때 대적광전은 사찰 내에서 가장 큰 당우가 된다.
후불탱화(後佛幀畫)는 전각의 규모에 따라 1폭의 삼신탱(三身幀)을 봉안하는 경우도 있지만, 보통 법신탱·보신탱·화신탱 3폭을 각각 불상 뒤에 봉안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대적광전의 위치가 대웅전과 동등한 위치를 차지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보통 신중을 모신 신중단(神衆壇)과 영가를 모신 영단(靈壇)을 함께 마련하게 되며, 신중단에는 신중탱화를, 영단에는 감로탱화(甘露幀畫)를 봉안한다.
내부의 장엄도 화려하여 보통 주불 뒤에는 닫집인 천개(天蓋)를 만들고 여의주를 입에 문 용 등을 장식하며, 천장에는 보상화문(寶相華文)과 연화문(蓮華文) 등을, 벽의 상단에는 화불(化佛)과 비천(飛天)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화려하게 장식한다.
이 전각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산 해인사(海印寺)의 대적광전과 전라북도 완주군위봉사(威鳳寺)의 보광명전(普光明殿)을 들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대적광전 [大寂光殿]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대적광전
대적광전은 기림사의 본전으로 신라 선덕여왕때 처음 지어졌으며 그 뒤 8차례나 다시 지어졌다.
1997년 해체공사때 종도리에서 4종의 묵서가 발견되었다.
이 묵서에 의하면 1629년에 제5차중수가 있었고 1755년에 개조중수가 있었고 1785년에
6차 중창이 있었으며 1978년에 제7차 중수가 있었다.
최근 1997년에는 정부의 문화재 수리비용으로 제8차 완전 해체 수리가 이루어 졌다.
건물은 정면5칸 측면3칸의 규모이며 배흘림 기둥의 다포식 단층 맞배 지붕이다.
겉모습은 본전 건물다운 웅장함을 갖추었으며 내부는 넓고 화려하여 장엄한 분위기를
간직하고 있다.
대적광전은 주불이 비로자나불을 모신 전각이다
적(寂)은 번뇌를 멸한 고요한 진리의 세계, 니르바나의 세계를 말하며, 광(光)은 그 세계에서
나오는 참된 지혜가 온 우주를 찬란히 비춘다는 것을 말한다.
보물 제833호
삼존불
좌측부터 아미타불, 비로자나불, 약사여래불
탱화
비로자나불화(중앙)·노사나불화(좌)·석가모니불화(우)로 구성된 삼신불화가 일반적이지만 이 불화에서는 비로자나불화와 아미타불화, 약사불화로 이루어져 있어 삼세불화와 삼신불화를 결합한 독특한 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주불인 비로자나불
우협시불인 아미타불
좌협시불인 약사여래불
삼존불
대적광전 꽃창살
화려한 꽃창살문이 색이 바래 화려한 꽃창살 조각의 느낌이 더 고색 창연하다.
관음전
관음전
천수 천안 관세음보살을 모신 전각이다. 천개의 손과 천개의 눈과 열한개의 얼굴을 하고 계신다.
천(千)은 광대무변의 뜻을 나타낸다.
수없이 많은 중생의 고통소리를 듣고 보아야 하므로 그렇게 많은 눈이 필요하고 수많은 중생을
손을 내밀어 구제해야 하므로 그렇게 많은 손이 필요하다는 것을 상징한다.
열 한개의 얼굴을 한 십일면 관세음보살은 아수라도에 있는 것을 구제하는 보살이다.
맨위의 불면은 불과를 표현한 것이고 전후좌우 십면은 보살이 수행하는 계위인 10지를 나타낸다.
이것은 중생의 11류품류의 무명번뇌를 끊고 불과를 얻은 뜻을 상징한다.
천수 천안 관세음 보살
천수 천안 관세음 보살
'사찰순례 > 108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월산 기림사: 일주문, 천왕문, 범종루(16.7.8) (0) | 2018.06.20 |
---|---|
함월산 기림사: 진남루, 응진전, 약사전(16.7.8) (0) | 2018.06.20 |
함월산 기림사: 삼천불전, 삼성각(16.7.8) (0) | 2018.06.20 |
함월산 기림사: 명부전, 화정당, 기림유물관(16.7.8) (0) | 2018.06.20 |
함월산 기림사: 소장 문화재(보물 415호, 833호, 958호, 959호, 1611호)(16.7.8) (0) | 2018.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