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전(血栓)은 혈관에 정체된 피가 뭉친 것이다. '피떡'이라고도 불리는데, 급사를 유발할 수 있을 만큼 위험하다.
하지만 2014년 조사 자료에 따르면, 국내 인구의 83%는 혈전 질환(폐색전증) 증상에 대해 모른다고 답했다.
혈전은 생긴 부위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심장에서 나온 혈액을 온몸으로 보내는 동맥에 혈전이 생기면 '동맥혈전증' 온몸을 돌고 난 피를 심장으로 보내는 정맥에 생기면 '정맥혈전증'이다.
동맥 혈류는 정맥보다 훨씬 빨라 잘 정체되지 않기 때문에, 동맥혈전증보다는 정맥혈전증이 훨씬 많다.
동맥혈전증은 대부분 혈관이 딱딱해지는 동맥경화가 원인이다. 이로 인해 혈관내피세포가 손상되면 혈소판, 섬유세포 등이 달라붙어 혈전이 된다.
동맥혈전증은 뇌경색, 급성심근경색 같은 응급질환을 유발한다.
정맥혈전증의 원인은 크게 세 가지다.
선천적으로 피가 끈끈하거나,
혈관내피세포가 망가졌거나,
혈류가 느려졌기 때문이다.
혈류가 느려지는 이유는 다양한데 오랜 기간 입원하거나 오래 앉아있는 등 움직이지 않는 게 주요 원인이다.
정맥혈전증은 응급질환은 아니지만 치료하지 않고 내버려 두면 급사를 유발하는 심부정맥혈전증을 일으킨다.
동맥혈전증이 뇌경색 등을 유발하면 호흡곤란, 시야장애, 의식불명 등이 나타난다. 정맥혈전증이 있으면 한쪽 종아리에 부종, 통증, 열감이 느껴지는 경우가 많다.
혈관이 튀어나와 보이고, 발을 위쪽으로 젖혔을 때 종아리 근육에 통증이 느껴지기도 한다.
오래 걷거나 서서 발이 붓고 아픈 것과 달리 갑자기 아무 이유 없이 다리 통증, 부종이 생겨서 걷기 어려울 정도일 때 의심할 수 있다.
하지만 혈전증이 있어도 증상이 없는 경우가 있다. 혈전 고위험군이라면 별다른 증상이 없어도 심부정맥혈전증 진료를 받아보는 게 안전하다.
고위험군은
▲혈전증 가족력이 있거나
▲60세 이상
▲암 등 수술받은 사람
▲비만한 사람
▲장기 입원자다.
혈전증 검사는 혈관 초음파, 컴퓨터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 등을 통해 한다. 동맥혈전증은 심장·뇌 괴사 등의 증상이 확연히 드러나므로 진단이 잘 된다.
하지만 정맥혈전증은 초음파검사 전 혈액검사 등을 먼저 해야 한다(대한영상의학회). 혈액검사는 혈전이 분해되면서 나오는 작은 조각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인데,
정맥혈전증은 증상이 모호하고 가벼운 경우가 많아 다른 질환과 헷갈리기 쉽기 때문이다.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헬스조선 헬스조선 편집팀 입력 2017.07.10 17:06
'건강의학정보 > 혈관,혈전증,정맥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한 혈관 만들려면 지켜야 할 5가지 (0) | 2017.07.14 |
---|---|
[1분 Q&A] 하지정맥류 치료에 도움 되는 생활습관은 (0) | 2017.07.12 |
한여름에도 압박스타킹을 착용해야 하는 이유는? (0) | 2017.07.05 |
혈관 건강 위해 피해야 할 음식은? (0) | 2017.06.22 |
여름철 무더위에 하지정맥류 관리법은? (0) | 2017.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