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관절염이 있거나 심장이 안 좋은 사람은 계단오르기 운동을 안 하는 게 좋다./클립아트코리아
계단오르기는 누구나 쉽게 할 수 있고, 한 번의 운동으로 여러 건강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좋은 운동이다.
미국 하버드대 의대에서는 10층 계단을 1주일에 두 번 오르면 심근경색으로 인한 사망률이 20% 줄어든다는 연구를 발표하기도 했다.
계단오르기는 정확히 어떻게 건강 효과를 낼까?
계단오르기는 전신 운동이다.
계단을 오를 때는 평지를 걸을 때보다 에너지 소모가 1.5배로 많이 된다.
그만큼 몸에 부담이 가서, 혈액 속 산소와 영양분을 온몸으로 많이, 빠르게 보내려고 심장이 세게, 빨리 뛴다. 자연스럽게 호흡수도 증가해, 이런 과정이 반복되면서 심폐 기능이 향상된다.
하체 근육도 단련된다.
계단을 오를 때 특히 많이 쓰이는 근육은 허벅지 근육이다. 전체 근육의 30%를 차지한다. 허벅지 근육이 강해지면 무릎 관절에 가는 부담이 줄어 관절염 예방 효과를 볼 수 있다.
근육량이 늘면서 기초대사량도 올라가, 다이어트에도 도움이 된다. 발을 계속 높은 곳으로 올리는 동작을 통해 지구력과 균형감각도 높일 수 있다.
계단오르기는 땀이 약간 나면서 말할 수 있을 정도로 숨이 찰 때까지만 하는 게 좋다.
허벅지나 종아리가 뻐근해지거나 숨차서 말 못 할 정도라면 잠시 멈추는 게 좋다. 제자리 걸음이나 평지 걷기를 5분 정도 한 뒤에 다시 시작하면 된다.
다만, 계단오르기를 하면 안 되는 사람이 있다.
이미 관절염이 있거나, 심장병 환자이거나, 균형감각이 안 좋은 노인이다. 지병이 악화되거나 낙상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사람은 계단오르기 대신 평지를 걷도록 한다. 계단을 오를 때는 난간을 꼭 잡아야 한다.
/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hj@chosun.com
기사입력 2021.06.03. 오전 6:01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기타 건강정보 > 운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잘못하면 오히려 '독'이 되는 흔한 운동 5가지 (0) | 2021.06.23 |
---|---|
틈틈이 하다보면…생각보다 효과 큰 운동 3가지 (0) | 2021.06.07 |
[헬린이 PT안내서] 스쿼트로는 부족한 당신을 위해, 런지 (0) | 2021.04.11 |
허리 튼튼히 하려면 ‘이 동작’ 따라하세요 (0) | 2021.03.26 |
계단 오르기, 내 몸에 '이런 효과'까지? (0) | 2021.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