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시아 파미르고원이 위치한 타지키스탄은 일반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국가이다.
'파미르고원' 하면 '세계의 지붕'이라는 말을 연상하지만 이 단어가 머릿속에 남아 있어도 그 어느 누구도 파미르고원에 대해 알려고도, 물으려고도 하지 않는다.
일상 대화에서 과감히 잊힌 곳이다. 사실 오지를 탐험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버킷리스트에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일상의 생각 속 저 깊은 구석에서 끄집어 낼 필요도 없는 장소이다.
그러나 어느 날 누군가에게 가까이 다가올 때가 있다. 누군가의 버킷리스트에 있었던 장소가 바로 나에게 다가왔다.
19세기 중앙아시아의 파미르 고원을 탐험한 러시아의 탐험가들은 이 지역을 세상과 동떨어져 고립돼 있는 우주의 달보다도 더 멀리 있는 곳이라고 했다.
19세기 중앙아시아의 파미르 고원을 탐험한 러시아의 탐험가들은 이 지역을 세상과 동떨어져 고립돼 있는 우주의 달보다도 더 멀리 있는 곳이라고 했다.
얼마나 험하고 긴 여정이었기에 이와 같은 표현을 했는지 이곳을 다녀오면 이해가 될 수 있다. 타지키스탄은 국토의 93%가 높은 산들로 둘러싸인 대표적인 산악 국가이다.
파미르 고원은 평균 해발 고도 4000m 이상에 있고, 같은 줄기를 이루며 약 10여 갈래로 복잡하게 뻗어 있는 여러 산맥들과 고원들이 만들어낸다. 산맥들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산들이다.
봉우리 4개는 7000m급이고 최고봉은 7495m의 이스마일 소모니 봉이다. 7000m급 봉우리가 4개나 있다 보니 '세계의 지붕'이라는 별명을 붙인 이유를 쉽게 이해 할 수 있다.
파미르 고원 해발 3500-4700m에 하늘과 맞닿은 길이라고 하는 파미르 하이웨이가 있다.
파미르 고원 해발 3500-4700m에 하늘과 맞닿은 길이라고 하는 파미르 하이웨이가 있다.
키르기스스탄 오시(Osh)에서부터 타지키스탄 무르고프와 호루그를 지나 우즈베키스탄의 테르메스까지 잇는 약 1516㎞ 길이의 도로를 파미르 하이웨이라고 한다.
일부 구간은 해발 4655m에 있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고속도로이다. 필자의 경험으로 여름에 이 길을 가다 보면 사계절을 한 번에 만날 수 있다.
반팔 반바지로 출발을 했다가 가을의 날씨를 만나고 정상에서는 눈을 맞는다. 다시 지상으로 천천히 내려오면서 가을과 봄을 느낄 수 있다.
실크로드는 초원길, 사막길, 바닷길로 구분을 하는데, 파미르 하이웨이는 옛 실크로드 초원길의 일부이다. 사막에서 사람이 살 수 있는 곳은 오아시스가 있는 장소이다.
실크로드는 초원길, 사막길, 바닷길로 구분을 하는데, 파미르 하이웨이는 옛 실크로드 초원길의 일부이다. 사막에서 사람이 살 수 있는 곳은 오아시스가 있는 장소이다.
오아시스 주변에 사람들이 모여드는 것은 인간의 당연한 생존 본능이고, 이곳에 정착하게 되면서 정착민이 된다. 사막에서는 물 없이 쉽게 움직일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과거 실크로드의 사막 길은 정착민들이 살고 있는 오아시스와 오아시스를 잇는 길이라고 해도 무방하다. 그러나 초원길은 사막길과는 달리 사람이 지속적으로 정착할 필요가 없다.
물과 식물이 풍부한 곳이 널려 있기 때문에 한 장소에서 생활을 하다가 부족한 것이 생기면 다른 장소로 옮기면 된다. 그래서 초원길에는 정착민보다는 우리가 흔히 노마드(Nomad)라고 하는 유목민이 많다.
그런 까닭에 파미르 하이웨이를 가다 보면 야크와 양, 말 등을 키우며 살아가는 유목민들을 도로 주변에서 쉽게 만날 수 있다.
파미르를 잘 모르는 사람들은 파미르의 높이만 이야기할지 모른다. 하지만 이 거친 땅에 살고 있는 순박하면서 강인한 유목민들이야 말로 우리가 기억해야 할 파미르의 모습이 아닐까 한다.
이 길에서는 유목민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람들을 만날 수 있다. 길 위에선 이방인끼리도 반가운 법, 그 옛날 실크로드를 오갔던 대상들도 이 길 위에서 서로 반가웠을 것이다.
이 길에서는 유목민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람들을 만날 수 있다. 길 위에선 이방인끼리도 반가운 법, 그 옛날 실크로드를 오갔던 대상들도 이 길 위에서 서로 반가웠을 것이다.
파미르 하이웨이는 타지키스탄을 동과 서로, 그리고 이웃 국가로 이어주는 중요한 길이자 무역로이다. 길은 인간의 생존과도 관련이 있다.
생존을 위해 옆 마을로 가는 길, 도시로 가는 길, 이웃 나라로 가는 길을 내다 보니 다양한 문명이 소통되는 길이 탄생한다.
과거 실크로드가 그랬듯이 지금의 파미르 하이웨이도 옛 실크로드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단순한 길이 아닌 우리의 삶 속에서 하나의 모티브를 제공해 주는 길이다.
우리가 살기 위해선 이 험난한 길을 가야 하지만 그래도 우리가 살 수 있고 살아가야만 한다는 강인한 상징성을 보여주는 길이라 할 수 있다.
인간의 삶의 목적이 문명세계에서든 파미르 하이웨이가 지나가는 오지에서든, 옛날이나 지금이나 우리가 살기 위한 것이라면 이 파미르 하이웨이를 보고 있는 것만으로도 우리의 삶의 목표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게 해 준다.
내 집과 일터, 그리고 우리를 둘러싼 사람들과 환경 속에서 원활한 삶의 여정을 지탱해나가기 위해서 마음속에 내 스스로 길을 내고 평생을 가야 하는 어쩌면 파미르 하이웨이와 같은 실크로드를 닦아야 할 것이다.
사람들은 자신이 누구인지 알기 위해서는 먼 곳을 여행해야 한다고 한다. 그 답을 찾기 위해 파미르로 가볼 것을 추천한다. 김태진 배재대 러시아학과 교수
<저작권자ⓒ대전일보사>
<저작권자ⓒ대전일보사>
2017-09-05기사 편집 2017-09-05 16:00:28
'여행자료 > 파미르고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의 지붕] 파미르고원 8일(KC)(혜초여행사) (0) | 2020.02.16 |
---|